728x90
반응형
Trinity DSSN 데이터베이스에서 실행하기
데이터는 대구 지역 2016년 04월 21일 택시의 Time-coordinate compound 데이터들을 MongoDB로 접근 후 데이터 삽입 및 범위 조회 쿼리 시간 출력.
코드 설명
num_dimension : 기본키, 시작시간, 끝시간, 위도, 경도의 값으로 차원 개수 설정
total_count : 데이터의 총 개수
trie_depth, max_depth, max_tree_node : 기존 trinity 코드 /Trinity/libmdtrie/bench/example.cpp 의 값 사용
: 데이터베이스에서 시간데이터를 받으면 ms 단위로 나오고, 이를 초 단위로 변환 후, 2016년을 기준년도로 바꿔 시간 데이터를 간편하게 표현.
: “YYYYMMDDHHMMSS” 형식의 문자열을 2016년을 기준으로 하는 시간 데이터로 표현.
실행방법
~/SIDE/heeseok/Trinity/test 디렉터리에서 make로 컴파일 후
생성되는 main파일 실행
범위 쿼리 결과
범위 (23.134077, 72633491), (23194650, 72641902) 에서
시간 (20160421000000) 부터 1시간, 6시간 12시간 24시간 이후 결과
728x90
반응형
'논문 리뷰 > 데이터베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논문 리뷰] TRINITY : A Fast Compressed Multi-attribute Data Store (0) | 2024.11.05 |
---|---|
[논문 리뷰] A New Method To Index And Store Spatio-temporal data (0) | 2024.10.10 |
[논문 리뷰] k²-Trees for Compact Web Graph Representation (1) | 2024.09.16 |